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프렌즈 영어 표현: “It’s like a karmic debt” – 운명적 상황을 말하는 법
    🎬 프렌즈 Season1/EP03-Day1-3 2025. 4. 21. 00:12
    EP03 Day1에서는
    피비가 은행 계좌에 실수로 입금된 돈을 돌려주려다 오히려 더 많은 선물을 받고,
    결국 소다 캔에서 엄지손가락을 발견하는 ‘초현실적 상황’이 펼쳐져요.
    세상이 너무 이상할 때, 그것을 바라보는 피비만의 방식과 미국인의 반응법을 보여주는 에피소드입니다.


    ① I can’t keep this money.

    ✏️ 표현 풀이: 이 돈을 가질 수 없어

     

    ⚙️ 문법 포인트: keep + 명사 → 소유하다, 보유하다

     

    🌎 문화 포인트:
    미국에서도 ‘잘못 입금된 돈’은 흔히 도덕적 고민을 유발해요.
    이 표현은 양심과 합법 사이의 갈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문장이고,
    피비는 이 상황을 “나는 정직해야 해”라는 도덕적 프레임으로 받아들이는 인물이에요.

     

    🧩 패턴 정리: I can’t keep ~ → ~를 가질 수 없어


    ② It’s not mine.

    ✏️ 표현 풀이: 내 것이 아니야

     

    ⚙️ 문법 포인트: It’s + not + 명사 → 부정 소유

     

    🌎 문화 포인트:
    미국에선 소유의 경계가 확실해서 “내 것이 아니다”라는 말은 도덕적 책임 회피의사 표현의 선 긋기로 자주 써요.
    피비는 ‘가질 수 있음’이 아니라 ‘가져도 되는가’를 중요하게 여기는 미국식 개인 윤리감각을 보여주죠.

     

    🧩 패턴 정리: It’s not mine → 내 것이 아냐


    ③ I tried to give it back.

    ✏️ 표현 풀이: 돌려주려고 했어

     

    ⚙️ 문법 포인트: try to + 동사 → ~하려고 하다

     

    🌎 문화 포인트:
    미국에서도 정직한 행동이 반드시 좋은 결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현실을 잘 보여주는 표현이에요.
    돌려주려 했지만 오히려 더 많은 보상을 받는 상황은 피비에게 혼란을 주죠.

     

    🧩 패턴 정리: try to give ~ back → ~를 돌려주려고 하다


    ④ Maybe this money is cursed.

    ✏️ 표현 풀이: 이 돈에 저주라도 있는 걸까?

     

    ⚙️ 문법 포인트: Maybe + 주어 + be → 가능성 가정

     

    🌎 문화 포인트:
    ‘cursed’(저주받은)는 미국에서 일상적으로 “운 나쁜 일에 덧붙이는 표현”으로 자주 써요.
    피비처럼 세상 이치가 안 맞을 때, 그걸 설명하기 위한 ‘영적 상상력’을 곧잘 활용하죠.

     

    🧩 패턴 정리: ~ is cursed → ~에 저주가 있을지도 몰라


    ⑤ I’m like, “What is this universe?”

    ✏️ 표현 풀이: 나 진심, 이 세상 뭐야? 이런 느낌

     

    ⚙️ 문법 포인트: I’m like → 감정 회상 표현

     

    🌎 문화 포인트:
    미국식 회화에서 “I’m like ~”는 과거 감정을 묘사할 때 자주 쓰여요.
    피비처럼 현실이 말이 안 될 땐, 감정을 그대로 설명하지 않고 감정 + 철학을 섞은 농담조 회상 표현을 자주 사용해요.
    이 대사는 단순히 놀라운 게 아니라, “세상이 이렇게 이상할 수 있나?”는 감정적 허탈감과 체념이 담긴 표현이에요.
    특히 피비는 모든 상황을 세상의 구조 문제로 해석하려는 성향이 있어요.

     

    🧩 패턴 정리:
    I’m like, “...” → 나 진짜 이런 느낌이었어 / 감정적 반응 회상


    ⑥ What am I supposed to do with it?

    ✏️ 표현 풀이: 이걸로 나보고 뭘 하라는 거야?

     

    ⚙️ 문법 포인트: be supposed to → ~해야 하는 상황

     

    🌎 문화 포인트:
    이 표현은 미국에서도 “부당하거나 애매한 책임”을 전가받았을 때 쓰는 말이에요.
    피비는 감정적으로 불편한 돈을 손에 쥔 상황에서 이 표현을 사용해요.

     

    🧩 패턴 정리: be supposed to do → ~해야만 하나?


    ⑦ I gave it all to a homeless woman.

    ✏️ 표현 풀이: 그냥 노숙자 여자한테 전부 줬어

     

    ⚙️ 문법 포인트: give + 목적어 + to + 사람

     

    🌎 문화 포인트:
    미국에서도 ‘더 필요한 사람에게 준다’는 도덕적 직관은 깊이 존중받아요.
    피비는 스스로 기준을 만들어 ‘옳은 일’을 선택한 거예요.

     

    🧩 패턴 정리: give it to ~ → ~에게 주다


    ⑧ This is not my day.

    ✏️ 표현 풀이: 오늘 진짜 재수 없는 날이야

     

    ⚙️ 문법 포인트: It’s not ~ → 부정 상황

     

    🌎 문화 포인트:
    미국에서 이 표현은 단순히 일이 안 풀릴 때 쓰는 ‘운 나쁜 날’ 표현이에요.
    피비처럼 상황이 반복되며 꼬일 때 이 말로 감정을 덤덤하게 정리하는 경우가 많아요.

     

    🧩 패턴 정리: not my day → 오늘 운 없다


    ⑨ I just can’t enjoy it.

    ✏️ 표현 풀이: 도저히 이걸 즐길 수가 없어

     

    ⚙️ 문법 포인트: can’t + 동사 → ~할 수 없다

     

    🌎 문화 포인트:
    피비는 자신의 도덕 기준과 감정이 충돌할 때, 기쁨조차 죄책감으로 느껴요.
    미국에서도 ‘감정의 자격’을 스스로 평가하는 문화가 있어요.

     

    🧩 패턴 정리: can’t enjoy ~ → ~를 즐길 수 없다


    ⑩ It’s like a karmic debt.

    ✏️ 표현 풀이: 마치 업보 같아

     

    ⚙️ 문법 포인트: like + 명사 → 비유

     

    🌎 문화 포인트:
    ‘karma’는 미국에서도 널리 쓰이는 개념이에요.
    피비는 우주의 균형을 중시하는 캐릭터고,
    이 표현을 통해 “지금 받는 건 나중에 갚아야 할 운명”이라는 운명론적 감정 정리 방식을 보여줘요.

     

    🧩 패턴 정리: karmic debt → 감당해야 할 운명, 업보


    🎯 오늘의 미션
    ‘너무 이상한 하루’였던 날을 떠올려
    짧은 회화문을 만들어보세요!
    예:
    A: I got free money and a football phone.
    B: Wow, lucky!
    A: No! There was a thumb in my soda.
    B: ...Okay, maybe it's karmic debt.

     


    🔙 이전 포스트 보기 → ["I just want her to be proud of me." ]

     

    [프렌즈 S1] Ep.2 – Day3. 모니카의 부모님 방문, “I just want her to be proud of me” 부모님에게 인정받

    에피소드2의 마지막 장면은,모니카가 부모님 방문을 앞두고 폭풍 청소에 몰두하며특히 엄마의 비판과 비교에 대한 압박을 드러내는 에피소드예요.딸로서의 인정 욕구, 완벽주의, 그리고 가족

    frienglish.tistory.com

    ⏭ 다음 포스트 보기 → ["I just don’t feel the thing."]

     

    Ep.3 – Day2. 앨런과의 이별 선언, “I just don’t feel the thing” 감정 없는 관계의 끝

    오늘은 에피3 모니카와 앨런의 이야기예요.모니카는 친구들이 사랑에 빠질 정도로 매력적인 남자, ‘앨런’을 만나요.하지만 정작 본인은 그에게 감정이 없다는 걸 깨닫고 관계를 끝내기로 하

    frienglish.tistory.com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