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렌즈 영어 표현: “I need a cigarette so bad” – 욕망, 중독 표현 해석🎬 프렌즈 Season1/EP03-Day1-3 2025. 4. 20. 10:57
에피소드3의 마지막 장면은
챈들러가 담배를 끊기 위해 분투하는 모습이 중심이에요.
스트레스, 금단현상, 유혹 — 그리고 친구들의 조언까지.
이 장면은 자기 절제와 중독을 미국식 유머로 풀어낸 대표 장면입니다.
① I need a cigarette so bad.
✏️ 표현 풀이: 담배 너무 땡겨
⚙️ 문법 포인트:
‘so bad’는 부정적 의미가 아니라, 강한 욕구/간절함을 강조하는 부사🌎 문화 포인트:
미국에서도 **“I need it so bad”**는 중독적 갈망이나 급한 욕구 표현으로 자주 사용돼요.
중독을 가볍게 농담처럼 말하는 스타일이지만, 실은 감정적 긴장이 깔려 있어요.🧩 패턴 정리: ‘I need ~ so bad’ → 너무 간절히 원해/ 너무 땡겨
② Just one drag.
✏️ 표현 풀이: 한 모금만…
⚙️ 문법 포인트:
‘drag’는 담배 한 모금, 마약류 흡입에도 사용되는 말🌎 문화 포인트:
이건 유혹에 무너질 때 나오는 전형적인 자기합리화 문장.
“진짜 딱 한 번만…”은 미국식 유혹에 흔히 쓰이는 감정 톤이에요.🧩 패턴 정리: ‘Just one ~’ → 단 하나만 (자기합리화)
③ You’re strong, you can do this.
✏️ 표현 풀이: 넌 강하잖아, 할 수 있어
⚙️ 문법 포인트:
직접적 긍정 → 동기 부여형 문장🌎 문화 포인트:
미국식 격려는 ‘넌 할 수 있어’라는 직접적인 말로 많이 표현돼요.
챈들러는 이걸 들으면서도 갈등해요.
“위로는 듣지만 욕망은 안 멈춤” → 이게 이 장면의 리얼리티!🧩 패턴 정리: ‘You can do this.’ → 너 할 수 있어
④ It’s just a phase.
✏️ 표현 풀이: 잠깐 그런 거야
⚙️ 문법 포인트:
‘just a phase’ → 일시적 현상/감정 상태 설명할 때🌎 문화 포인트:
미국에선 정신적/습관적 문제를 무겁게 말하지 않고
“It’s just a phase”처럼 가볍게 넘기는 표현도 자주 써요.🧩 패턴 정리: ‘It’s just a phase.’ → 지금만 그래
⑤ I’m not hooked.
✏️ 표현 풀이: 나 중독된 거 아니야
⚙️ 문법 포인트:
‘hooked’는 비공식 표현으로 ‘푹 빠지다 / 중독되다’ 의미🌎 문화 포인트:
중독을 인정하지 않고 회피할 때 자주 나오는 대사예요.
미국식 캐주얼 표현이지만, 실제론 심각한 상태를 숨길 때 자주 쓰이죠.🧩 패턴 정리: ‘I’m not hooked.’ → 나 빠진 거 아냐
⑥ I quit yesterday, I’m doing great!
✏️ 표현 풀이: 어제 끊었어, 잘 하고 있어!
⚙️ 문법 포인트:
과거 완료 + 현재 진행 → 자기 강화형 문장🌎 문화 포인트:
이건 일종의 자기최면 + 허세 표현이에요.
미국식 유머로 자기 암시를 진지하게 말하는 척하면서 웃기죠.🧩 패턴 정리: ‘I quit + 과거시간’ → 끊었어! (강조)
⑦ Everyone smokes in movies!
✏️ 표현 풀이: 영화에선 다 담배 피우잖아!
⚙️ 문법 포인트:
‘everyone + 동사’ → 사회적 정당화 or 비교 표현🌎 문화 포인트:
이건 미국식 자기 정당화 대표 대사예요.
사회 현상에 핑계를 돌리는 말투로 중독을 미화하거나 합리화하는 방식이죠.🧩 패턴 정리: ‘Everyone + 동사’ → 다 그러잖아!
⑧ I’m just saying...
✏️ 표현 풀이: 그냥 하는 말이야…
⚙️ 문법 포인트:
‘just saying’은 의견의 책임을 회피하는 말버릇🌎 문화 포인트:
미국에서는 **불편한 말을 꺼낼 때 “just saying”**을 붙여
책임을 피하려고 해요.실은 다 말해놓고 “그냥…” 하는 느낌!
🧩 패턴 정리: ‘I’m just saying.’ → 내 말은 그게 아니고…
⑨ I’m not proud of it.
✏️ 표현 풀이: 나도 자랑스럽진 않아
⚙️ 문법 포인트:
‘not proud of ~’ → 부끄러움이나 후회 표현🌎 문화 포인트:
이 표현은 자기 실수 인정 + 감정 회피를 동시에 보여줘요.
“알아, 나도 안 좋은 거야” 하면서도 행동은 안 바꾸는 경우에 자주 등장.🧩 패턴 정리: ‘I’m not proud of + 명사/행동’ → 나도 자랑스럽진... 않아....
⑩ I’m gonna go smoke.
✏️ 표현 풀이: 나 그냥 담배 피고 올게
⚙️ 문법 포인트:
‘gonna’ = going to → 미래 행동 예고🌎 문화 포인트:
결국 자제 못 하고 현실로 돌아가는 장면.
미국식 시트콤에서는 실패하는 캐릭터의 현실감이 오히려 공감을 줘요.🧩 패턴 정리: ‘I’m gonna go + 동사’ → 나 ~하러 간다
🎯 오늘의 미션
챈들러처럼 유혹에 흔들릴 때,
어떤 말을 스스로에게 해볼 수 있을까요?
직접 대화문을 만들어보세요!
A: I need a cigarette so bad.
B: You’re strong. You can do this.
A: I quit yesterday. I’m doing great!
B: Just one drag?
A: No! I’m not hooked… I’m just saying.
🔙 이전 포스트 보기 → ["I just don't feel the thing."]
[프렌즈 S1] Ep.3 – Day2. 앨런과의 이별 선언, “I just don’t feel the thing” 감정 없는 관계의 끝
오늘은 에피3 모니카와 앨런의 이야기예요.모니카는 친구들이 사랑에 빠질 정도로 매력적인 남자, ‘앨런’을 만나요.하지만 정작 본인은 그에게 감정이 없다는 걸 깨닫고 관계를 끝내기로 하
frienglish.tistory.com
⏭ 다음 포스트 보기 → ["Who’s FICA? "]
Ep.4 – Day1. 첫 월급의 현실, “Who’s FICA?” 세금, 자존심, 그리고 자립 선언
레이첼은 드디어 첫 월급을 받아요!기대와 달리 적은 금액에 충격을 받고, 자신의 삶이 얼마나 바뀌었는지 실감하게 됩니다."이게 내가 선택한 삶이야"라는 한 마디는 그녀의 진짜 시작을 알리
frienglish.tistory.com
'🎬 프렌즈 Season1 > EP03-Day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렌즈 영어 표현: “I just don’t feel the thing” – 감정 없는 연애의 끝말 (2) 2025.04.21 프렌즈 영어 표현: “It’s like a karmic debt” – 운명적 상황을 말하는 법 (0)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