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렌즈 문법 노트

조동사 시리즈 ② – should have + p.p. : 그때 그랬어야 했는데

Frienglish 쌤 2025. 5. 11. 10:05

🎬 프렌즈 속 장면

Monica:

“I should have told him the truth.”

(S3E7)

프렌즈 장면 ai 이미지

 

 모니카는 말하죠:

 

“그 사람한테 진실을 말했어야 했는데…”

이 문장은 단순한 과거 시제가 아니에요.

이미 지나간 상황에 대해 “그때 그렇게 했어야 했다”는 아쉬움과 후회를 표현하는 문장이에요.

"I should have known better." (Rachel)

  • 번역: 내가 진작 알아봤어야 했는데.
  • ➤ Rachel이 Paolo를 믿었던 자신에게 실망하며 내뱉는 자기 반성
  • 시즌1 에피12

💡 문법 구조 설명

should + have + 과거분사(p.p.)

 

✅ 의미:

과거에 어떤 일을 했어야 했는데 하지 않았을 때

→ 후회, 비판, 반성을 표현


✅ 쓰임 정리

상황 의미 예문 해석
후회 그랬어야 했는데… I should have studied more. 더 공부했어야 했는데
자기 반성 내가 잘못했어 I shouldn’t have said that. 그 말 하지 말았어야 했어
남 비판 너 그랬어야지! You should have told me! 나한테 말했어야지!

🤯 한국인 학습자가 자주 하는 실수

잘못된 해석ㅊ

잘못된 해석 올바른 해석
should have = “~했어요” ❌ 단순 과거 아님
실제로 한 일을 표현 ❌ 그게 아니라 못했거나 안 했던 일에 대한 후회
현재 상황 설명에 사용 ❌ 이미 끝난 일에만 씀

 

📌 예:

  • ❌ I should have sent the email. (보냈다는 뜻 아님)
  • ✅ I should have sent the email, but I forgot. (보냈어야 했는데 까먹음)

💬 회화 예문

  • I should have gone to bed earlier.
  • (일찍 자는 건데…)
  • You should have told me the truth.
  • (진실 말했어야지)
  • I shouldn’t have yelled at her.
  • (그녀한테 소리 지르지 말 걸 그랬어)
  • He should have taken a break.
  • (그 사람 좀 쉬었어야 했어)

🧠 프렌즈식 요약

모니카의

“I should have told him the truth.”

 

이 한마디에는

용기 내지 못한 자신에 대한 후회,

그리고 그 일의 결과가 어떻게 되었을까에 대한 복잡한 감정이 담겨 있어요.

should have + p.p.는 단순히 ‘했어야 했다’가 아니라,지금의 마음까지 보여주는 표현이에요.


🎯 오늘의 문법 미션

아래 문장을 should have + p.p. 형태로 바꿔보세요:

  1. 나는 그 말을 하지 말았어야 했어.
  2. 넌 좀 더 일찍 도착했어야 했어.
  3. 우리는 그 기회를 잡았어야 했는데.

📌 한 줄 정리

should have + p.p.는 과거에 하지 않은 일에 대한 후회나 반성을 나타낼 때 쓰는 문법이에요.

프렌즈처럼 감정이 진하게 남은 순간에는

이 표현이 딱이에요.


📘 다음 편에서는
would have + p.p. – 상상과 가정 속의 선택편으로 이어집니다.
프렌즈 속 “그랬다면 어땠을까?”
이야기, 기대해 주세요! 😊


관련글 - [could have + p.p. : 가능했지만 일어나지 않은 일]

 

조동사 시리즈 ① – could have + p.p. : 가능했지만 일어나지 않은 일

🎬 프렌즈 속 장면Rachel:“Monica, y'know what, you could've called”(S1E21)모니카가 연락도 안 하고 늦게 들어온 레이첼이 걱정, 서운함을 담아 말하는 장면입니다.“모니카, 있잖아… 전화라도 할 수 있

frienglish.tistory.com